35년간의 임상 실천 경험 간직
‘중국 민간 우수 명중의’에 수록
위해시 경제기술개발구 황관남구 금해만화원 21-1번지에 위치한 정상범중서의진료소는 중서의 결합이론과 35년간의 임상실천을 바탕으로 여러 가지 의난병을 용케 치료해 ‘건강을 지켜주는 천사’로 널리 알려지고 있다.
길림성 영길출신인 정상범씨는 14세 때 발목을 심하게 상해 제대로 딛지도 못한 상황이었는데 침구치료를 받아 완쾌되자 침이 신비스러워 흥취를 갖게 됐고 그때부터 침구를 배웠다.
1973년 고중 졸업 후 정상범씨는 본격적으로 현지의 저명한 관소선(?笑仙)중의를 스승으로 모시고 3년간 임상학습을 했고 1984년에는 자비로 길림시 위생진수학교 중의반에서 2년, 길림시 위생학교, 직원의대 서의반에서 6년 간 배웠으며 또 상해중의학원에서 3년 간 함수공부를 통해 중서의 이론을 계통적으로 배웠다. 그는 여러차 국제, 국내 학술교류에 참가, ‘길림성 제3회 물리강복리료학술회의’, 세계 침구연합회에서 주최한 ‘94 서울 국제 침구학술 심포지엄’, ‘중, 한, 일 95 침구학술대회’등 학술회의에 참가하여 광범히 교류하면서 이론과 임상경험을 차곡차곡 누적했다.
정상범씨는 20세부터 농촌 맨발의사, 향촌병원의사, 현방역소, 길림성 제2직원요양병원 등 의료단위에서 열심히 사업해 여러차 영길현, 길림시 우수 향촌의사, 길림시 위생계통 선진사업일군으로 당선되었고 그의 사적이 길림시에 방송되기도 했다.
길림성 제2직원요양병원 종합문진과 주임의사로 사업할 때 종합문진과를 잘 운영해 높은 효익을 창출한 것이 밑거름이 되어 당시 적자 운영이던 이 병원의 원장을 하라는 것도 의사라면 관직에 있는 것보다 병을 고치는 것이 자아가치 실현에 더 적합하다는 이유로 사절했다.
2004년 위해에 진출한 정상범씨는 한겨레 밀집지역인 황관남구에 정상범중서의진료소를 차렸다. 중의, 내, 외과, 부인과, 소아과, 의난 잡병 치료로 유명해 졌고 더욱이는 비방을 이용한 침구안마, 혈위방혈(穴位放血)요법 등은 경추, 어깨, 허리, 다리통, 중풍으로 인한 편두통, 안면 신경마비, 소아 사경(斜?),화농(化?)성 중이염, 대상헤르페스(??疱疹),낭충병, 결장염, 담낭염, 간경화, 고혈압 등에 효과가 뛰어나 환자들 가운데서 위상이 높다.
몇년전 뇌출혈로 위해시의 큰 병원에서 몇만 위안의 치료비를 썼지만 별로 효과를 보지 못한 환자가 그의 진료소에서 2개월간 치료끝에 건강이 호전되어 행동에 불편이 없고 술도 조금씩 마실 수 있다고 전했다. 또 간경화복수로 장춘간병전문병원에서 희망이 없다는 진단을 받고 이 진료소를 찾아온 36세 젊은 환자를 3개월간 치료해 3년이 지난 오늘에도 건강상황이 매우 좋다.
매일 치료 받는 20여명 환자 중 한국인과 조선족이 50%이상을 점하는 이 진료소는 처음 오는 환자는 1시간 이상 진찰한다. “환자를 많이 볼수록 돈은 더 벌 수 있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치료 질이다. 병은 약으로만 치료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약물 치료외에 심리 조절, 생활 조절도 중요하다”고 말하는 정 소장은 환자의 병증세에 따라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심리 조절, 생활 조절 등 세부적인 서비스도 확실하게 챙겨주어 환자의 호평을 받고 있다.
필요 이상으로 약을 쓰면 인체(특히 어린이)에 엄청난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고 강조하는 정 소장은 필요 이상의 약을 마구 넣어 ‘바가지 소비’를 들씌우는 것은 환자에게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킬 뿐만 아니라 환자의 건강을 해친다며 부분적인 패덕 의료비리를 질호하기도 했다.
현재 위해시 중의협회 위원으로 활약하고 있는 정 소장은 ‘중국향촌의사’잡지, 한국의 ‘전통의학’ 등 잡지에 ‘침구, 안마 요법 소아 사경(斜?) 치료 13례’, ‘만성 화농(化?)성 중이염 중약 치료 29례’, ‘근육과 피하조직 낭충병 침구 치료’, ‘귀침(耳?), 혈위방혈(穴位放血) 요법 무릎관절염 치료’ 등을 발표 교류했고 1989년 길림시에 ‘비요드염(非??)이 길림시에 대한 충격’이라는 조사보고를 올려 높은 중시를 받았으며 올 10월 하순에 출판된 ‘중국 민간 우수 명 중의’에 수록되기도 했다.
사진설명: 정상범 소장이 환자를 진맥하고 있다.
/전세연 남석 기자 nanshi20004@hotmail.com
날짜 : 2009년 10월 30일
Comment Canc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