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둥반도 블루경제구(蓝色经济区) 사업은 국가에서 주도하고 산둥성정부가 직접 지휘하는 21세기 중국 최고의 사업이 될 것으로 보인다. 9대 중점항목에 36개 도시의 프로젝트는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이후 중국경제발전에 큰 획을 긋게 되는 역사적인 사건으로 기록될 것이다.
◇산둥반도 블루경제구는 무엇인가?
블루경제구의 9대 중점항목은 띵즈만해상신성(丁字湾海上新城), 웨이팡해상신청(潍坊海上新城), 하이조우만중화공업단지(海州湾重化工业集聚区), 첸다오기계제조업단지(前岛机械制造业集聚区), 롱코우만해양장비제조단지(龙口湾海洋装备制造集聚区), 빈조우해양화공업단지(滨州海洋化工业集聚区), 동쟈코우해양하이테크산업단지(董家口海洋高新科技产业集聚区), 라이조우해양대체에너지산업단지(莱州海洋新能源产业集聚区), 동잉석유산업단지(东营石油产业集聚区)로 중국은 2020년까지 산둥반도 블루경제구에 총 1.4만억위안을 투자할 계획이다. 9곳의 블루경제구 전체 사용가능 면적은 2200k㎡로 그 중 1600k㎡를 이용하게 된다.
◇ 어떻게 진행되나?
산둥성정부는 산둥반도 블루경제구 발전계획을 진행하기 위해 1개의 실행본부와 15개의 관련부서를 두고 진행한다. 블루경제구에는 현대서비스업, 하이테크산업발전, 해양생태산업발전, 해양설비제조업, 임업중화공업발전, 해양화공산업발전, 정보통신, 현대해양어업발전, 생태환경, 교통운수업, 해양공정기계업발전, 해양생태환경보호산업발전, 현대농업발전, 수력발전, 토지개발이용, 교육사업발전, 과학사업발전, 위생사업발전, 인력자원과 사회사업발전, 해양문화여행업발전 등 25개의 중점 항목이 계획되어 있다.
블루경제구는 산둥성 동부 7개 도시 칭다오, 옌타이, 르자오, 웨이팡, 웨이하이, 동잉(东营), 빈조우(滨州)를 하나의 해양경제권으로 묶는 대규모 개발계획으로 중국정부의 해양경제발전, 해양자원개발 등 해양산업의 전반적인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전략이다.
◇왜 블루경제구를 주목하나?
중국은 에너지, 자원 부족 문제에 직면한 후 해양경제에서 답을 찾기로 했다. 그래서 산둥성 블루경제구가 해양경제개발의 실험구역으로 다른 해양경제개발 구역의 본보기가 될 전망이다. 황하 유역은 그 동안 중국 개발 전략에서 관심을 받지 못하다가 최근 주목을 받고 있다. 예로부터 중국 내륙을 거쳐 흐르는 강이 바다와 만나는 하구 지역은 하구 연안의 경제가 집중되는 곳으로 그 지리적인 경제가치로 중국 경제발전 전략의 중요한 곳으로 여겨져 오고 있다.
산둥성은 바다와 만나는 지역에 위치했지만 중국 개발 전략에서 그 동안 관심을 받지 못하다가 최근 황하 유역 경제가 발전되자 황하 하구의 “용머리”란 칭호를 얻고 있다. 지난 2011년 중국 국무원이 산둥반도 블루경제구 발전계획을 정식으로 허가함에 따라서 “산둥반도 블루경제구건설” 프로젝트가 국가 차원의 전략정책으로 상정되어 중국의 해양발전전략 및 지역협조발전전략의 중요 구성부분으로 거듭나며 점점 그 모습을 국내외에 드러내기 시작했다. (1)

 

 

 

 

향후 30년 중국 국가경제를 주도할 블루경제구
블루경제구의 거대한 ‘하나,둘,셋’ 전략

 

◇블루경제구에는 어떤 사업이 펼쳐지나?
중국국가사업인 산둥반도 블루경제구사업은 국가적으로도 큰 의미를 갖고 있다. 바로 중국의 동쪽을 먼저 개발해 점차적으로 서쪽을 이끌어 가겠다는 뜻으로 황하의 동쪽에 위치한 산둥성을 먼저 발전시키고 그것을 기초로 황하유역의 내륙경제를 주도하겠다는 것이다. 서쪽의 신장지역으로부터 시작돼 산둥반도까지 이르게 되는 두 개의 고속철도노선은 중국 중.서부의 경제에 상승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번 사업은 산둥반도를 해양산업, 해양과학기술산업, 개혁개방과 생태환경지역의 중심으로 집중 육성하게 된다. 산둥반도 블루경제구는 국제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현대 해양공업 지역, 선진 해양과학기술 핵심지역, 해양경제 개혁개방 지역으로 육성하며 이를 위해 국가 및 산둥성 정부는 기업과 연구소, 교육기관들의 연구와 협조 등의 활동을 지원한다. 블루경제구는 국가의 중요한 해양생태문명 시범구로서 해양자원을 과학적으로 개발해 이용하고, 오염방지 및 정화하는 역량을 강화하게 된다.
또한.중.일 경제협력시범지구를 건설하고 동북아 국제운송 종합센터와 국제물류센터를 설립해 세계의 물류중심에 선다는 중국의 계획을 진행하게 된다.
◇블루경제구의 하나, 둘 , 셋 전략이란?
블루경제구에는 하나의 핵, 두 개의 성장점, 세 개의 벨트, 세 개의 클러스터가 있다. 하나의 핵은 바로 '교동반도첨단해양산업단지(胶东半岛高端产业集聚区)'로 산둥반도 블루경제구의 핵심영역이다. 어업, 건설업, 문화여행, 물류운송 등의 분야에서 현대식 해양산업시스템을 건설하고, 해양생물 의약품, 해양 신에너지 개발 등의 전략적 신흥산업의 규모를 확장해갈 계획이다.
두 개의 성장점은 '황하삼각주 고효율 생태해양산업단지(黄河三角洲高校生态海洋产业集聚区)'와 '산둥성 남부항구주변 산업단지(鲁南临港产业集聚区)'이다. '황하삼각주 고효율 생태해양산업단지'는 중국 최초의 친환경경제구역으로, 국가차원의 전략산업으로 추진 중이다. 황하 삼각주는 산둥성 19개 도시에 걸쳐 있으며 산둥성 전체면적의 약 1/6을 차지한다. 간석지와 천연 오일 가스, 광석 자원들이 풍부하다는 이점이 있으며 2015년까지 경제발전과 환경보호가 공존하는 고효율 생태경제발전시스템을 구축해 2020년까지 경제, 환경, 생활의 질을 선진국 수준으로 향상시킬 목적이다.
'산둥성 남부항구주변 산업단지'는 황하삼각주 고효율 생태해양산업단지보다 크게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 사업 규모나 예산, 면적에서도 크게 차이는 나지만 그래도 국가사업으로 르자오(日照)의 깊은 수심의 항구에 뿌리를 두고 지역성물류센터와 동부연해 중요 항구산업기지로 건설하고 있다.
세 개의 벨트는 연안 / 근해 / 원해로 구분해 세 개의 벨트로 보호하고 개발하게 된다. 연안 보호 개발 벨트 지역 내에 있는 해안선, 간석지, 항만, 섬 등의 공간자원의 위치를 명확하게 파악하고 연안에 9개의 '집중절약사용 해양구역(集中集约用海片区)'을 건설해 지속가능한 개발을 추진하며 개발.보호 벨트 구역의 자원 조사와 개발을 가속화하고, 해양 에너지, 광석자원 개발, 해양 건설사업 등을 실시하게 된다.
세 개의 클러스터는 '칭다오– 웨이팡 – 르자오', '옌타이 – 웨이하이', '동잉 – 빈저우'로 이 세 개의 클러스터를 동시에 발전시킬 계획이다. '칭웨이르(青潍日)' 클러스터는 해양 첨단 과학기술 산업과 현대 서비스업을, '옌웨이(烟威)' 클러스터는 한국, 일본과 가깝다는 지리적인 이점을 이용해 무역 경제를 발달시키며 해양첨단산업을 발전시키는 동시에 휴식 공간으로 발전시킨다. 그리고 '둥빈(东滨)' 클러스터는 특색 있는 해양공업 집중지역으로 발전시켜 환경 친화형 거주지역으로 개발한다.
현재까지 보여지는 상황으로 볼 때, 중국국가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는 '산둥반도 블루경제구' 건설의 가장 큰 목적은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하나는 한국.일본과 지리적인 장점을 이용해 국제시장을 개척한 후, 아시아를 넘어 세계의 물류중심에 선다는 것이고. 그리고 또 하나는 블루경제구 건설을 통해 중국의 동부지역과 서부지역의 균등한 경제발전을 이룩한다는 것이다. (2)

 


향후 30년 중국 국가경제를 주도할 블루경제구
블루경제구가 건설되는 산둥반도 7개 중점도시


중국 최초의 대형 해상경제 개발계획으로 차후 대규모 프로젝트가 곳곳에서 창출될 것으로 예상되는 이번 산둥반도 블루경제구는 지난 2011년 1월 4일, 국무원으로부터 ‘산둥반도 불루경제구 발전계획’을 정식인가 받았다. 산둥반도를 중심으로 관할 해역 300만k㎡ 권역을 포함, 대외무역 90% 이상이 해상을 통해 이뤄진다는 것이 이 계획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블루경제구가 건설되는 산둥반도는 어떤 곳인가?
2009년 산둥성의 해양생산총액은 6040억 위안으로 전국 해양생산총액의 18.9%를 차지하며 전국 2위를 기록했고, 어업, 제염업, 해양공정 및 해양전력업의 발전속도는 전국 1위를 달리고 있다.
산둥반도는 중국 최대의 반도로서 해안선의 길이가 3345km, 200개가 넘는 만(湾), 1만 톤 급 이상 선박이 정박 가능한 수심을 지닌 곳은 51개를 보유하고 있는 등 해양경제의 요지임에 틀림없다. 산둥반도는 발해와 황해에 인접해 있고 동쪽으로는 한반도 및 일본열도와 마주해 있으며 서쪽으로는 황허 중하류, 남쪽으로는 장삼각지역, 그리고 북쪽으로는 징진지(京津冀) 도시권과 접해있다. 특히 연해 수역에는 약 23억8천만 톤의 천연오일가스가 매장돼 있으며, 빈하이(滨海) 탄전의 매장량은 9억4백만 톤, 해저광물자원의 잠재매장량은 100톤 이상으로 추정 되고 있다.
◇블루경제구가 건설되는 7대 주요도시들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산둥성 모든 해역과 칭다오, 옌타이, 웨이하이, 웨이팡, 르자오, 동잉, 빈저우 7개 도시, 4개의 현(县)급 도시 등을 포함, 해역 면적 총 15만9천5백k㎡, 육지 면적 총 6만4천k㎡를 개발 범위로 정했다. 2015년까지 현대 해양산업체계를 구축해 해양생산총액 연 평균 성장률을 15% 이상, 전체 해양경제 성장에 대한 해양과학기술의 기여도는 약 65%로 높이고 구역 내 평균생산총액을 8만 위안 이상, 도시화 수준을 약 65%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또 2020년까지 해양생산총액 성장률을 12% 이상으로, 구역 내 평균생산총액을 13만 위안 수준으로 높이고 도시화 수준을 70% 이상 달성한다는 것이다.
◇칭다오를 중국 동부 연해지역의 선두도시로
산둥반도 블루경제구 도시의 발전목표는 한국과 일본을 겨냥해 국제시장을 개척하고 광범위한 서부 내륙지역을 개척하는 것이다. 7개 중심도시의 지위와 역할을 강화하여 블루경제구 발전의 중요한 전략적 지역으로 만들며, 칭다오를 국가급 중심도시로 육성해 산둥성의 경제.사회.문화 발전의 선두도시로 키우겠다는 것이다.
◇7대 도시들의 도시별 특징을 살펴보면
산둥반도 블루경제구 7대 도시들을 산업분포, 도시발전현황 등의 기준으로 향후 주요 발전방향과 지역 포지션을 확정했다. 칭다오는 7개 도시의 선두도시로 현대화서비스중심, 문화중심, 국가해양과학연구 및 산업개발중심, 국가현대제조업 및 첨단기술산업단지, 동북아국제항공운송중심, 국제 해변 휴양지로 조성된다.
옌타이는 중요한 제조업 기지와 항구도시, 지역 금융.무역.서비스 중심, 중국의 중요한 휴양도시로, 르자오는 중국 동남 연해의 중요한 해변산업기지로, 웨이팡은 해양화학공업과 현대 제조업 도시로, 웨이하이는 한.중 경제벨트의 교두보로, 동잉은 석유화학공업을 바탕으로 한 산둥성의 중요한 공업도시, 그리고 생태특색도시로, 빈저우는 기계제조, 섬유, 날염을 위주로 하는 현대산업단지 및 공.상업중심도시로 거듭난다.(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