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설명: 20일 칭다오항에서 중한 전자상거래 해상간이통관 시스템 시범가동식이 개최됐다.

 

칭다오서 최초로 해상간이통관 시스템 가동

인천  칭다오 배편을 통해 물류비최대 50% 절감

 

중한 양국의 전자상거래가 크게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중한 간이해상통관을 거쳐 중국 시장에 들어가게 될 첫한국상품이 20일 칭다오항에 도착했다. 이 상품들은 목록확인과 X-ray 검사만을 진행한 후 바로 물류업체를 통해 소비자 손에 넘겨진다.

박용민 코트라 칭다오무역관장은 한중 양국간 전자상거래 물품을 인천  칭다오 배편을 통해 통관될 수 있는 시스템이 20일부터본격 가동되기 시작했다고 전했다. 박 관장은 전자상거래 관련 해상 운송이 본격 가동되면 여객선과 택배를 연계해 기존 항공편을 이용하는 것보다물류비를 30~50% 절약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면서 중국은 칭다오에 새로운 보세 창고를 짓고 인근 지모시를 보세 물류 창고로 지정하는 등 물량 확대에따른 대비책도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그 동안 중국인들이 한국 인터넷 쇼핑몰에서구매한 제품들을 항공편으로 배송하며 많은 추가비용이 들었지만, 앞으로는 페리를 이용한 제품구매를 통해 한국 상품들을 더 쉽고 저렴하게 구매할 수있게 됐다.

박 관장은 해상간이통관 지원시스템을 활용한 내수 및 수출초보기업,개인사업자들의 중국 수출확대를 위한 지원사업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며 한중 FTA 선두시범 사업으로 확장 및 기타도시로 확대하며 산둥성 연해도시 및 내륙 도시인 시안(西安)등으로 확산해 나갈 것이라고 자신에 찬 목소리를 냈다.

중국의 전자상거래 규모는 지난해 2조8천억 위안(한화약 459조원)으로 전년대비 52.5% 크게 성장했다. 그러나 중국의 물류, 통관 경쟁력은 낙후되어 전자상거래를 활용한 수출 확대의 최대 걸림돌이되기도 했다.

칭다오시에서 가장 먼저 시작한 해상간이통관 시스템이 중한양국 전자상거래 발전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 지 귀추가 주목된다.

 /아경